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 (AI)46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프롬프트가 왜 중요해? 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Prompt Engineering)이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모델은 텍스트, 이미지, 음악과 같은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필요합니다. 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모델에 대한 입력 데이터(프롬프트)를 구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입력 데이터는 모델이 생성하는 출력의 품질과 정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Chat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및 Dall-E, Stable Diffusion 과 같은 텍스트-이미지 생성 모.. 2023. 4. 20.
퍼셉트론이란? 다층퍼셉트론? 딥러닝? 쉬운 설명 1. 퍼셉트론(Perceptron)이란? 퍼셉트론은 인공신경망의 일종으로, 입력값과 가중치를 곱한 결과를 활성화 함수를 거쳐 출력값을 계산하는 모델입니다. 퍼셉트론은 분류(Classification)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퍼셉트론은 단층 퍼셉트론과 다층 퍼셉트론으로 나뉩니다. 단층 퍼셉트론은 하나의 출력값만을 가지며,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가중치를 조절하여 학습합니다. 다층 퍼셉트론은 여러 층의 뉴런으로 구성되며,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여러 개의 은닉층(hidden layer)이 존재합니다. 2. 퍼셉트론의 동작방식 퍼셉트론은 입력값(Inputs)과 가중치(weights)를 곱한 결과를 모두 더한 후,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를 거쳐 출력값을 계산합니다. 이진 .. 2023. 4. 13.
튜링테스트란? 튜링테스트 쉬운 설명 1. 튜링테스트란? 튜링테스트는 인공지능이 인간과 구분할 수 없는 수준까지 발전했는지를 판별하는 시험입니다. 튜링테스트는 채팅 등의 방식으로 인간과 컴퓨터가 대화를 하면서, 사람과 컴퓨터 중 어느 쪽이 대화 상대로부터 오는 질문에 더욱 올바른 대답을 제공하는지를 식별합니다. 2. 튜링테스트의 유래 및 역사 튜링테스트는 앨런 튜링(Alan Turing)이 1950년에 발표한 논문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에서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이 논문에서 튜링은 "기계"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갖춘다면, 그 기계와 사람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훌륭한 성능을 발휘할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튜링은 이러한 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튜링테스트를 제안하였습니다. 이 테스트는 기계와 사람.. 2023. 4. 11.
자연어처리란? 인공지능 자연어처리(NLP) 매우 쉬운 설명 1. 자연어 처리란?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는 인간의 언어를 기계적으로 이해하고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다룰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로 작성된 문서를 자동으로 번역하거나, 인간의 음성을 인식하여 명령을 수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2. 자연어 처리 활용 분야 자연어 처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예시를 소개하겠습니다. 검색 엔진 - 인터넷에서 검색 엔진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연어 처리 기술 중 하나입니다.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검색 결과를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입력된 검색어와 웹페이지의 내용을 비교해야 합니.. 2023. 4.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