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94 AutoGPT란? GPT가 자동으로 동작? 1. AutoGPT란? AutoGPT는 OpenAI의 GPT-4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완전히 자율적이고 사용자가 지정 가능한 AI 에이전트를 생성하는 오픈 소스 AI 애플리케이션입니다. AutoGPT는 사용자가 지정한 목표를 자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작업을 하위 작업으로 나눈 다음 인터넷 및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이러한 하위 작업을 완료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Toran Bruce Richards가 2023년 3월 30일에 출시했습니다. Toran은 전문 게임 개발자이며 Significant Gravitas라는 게임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예를 들어 AutoGPT에 블로그 게시물 작성을 요청하면 먼저 작업을 다음과 같은 하위 작업으로 분류합니다. 주제 연구 개요 만들기 게시물 본문 작성 게시물 편집 및.. 2023. 4. 24. 빅데이터란? 빅데이터 쉬운 설명 1. 빅데이터란? 쉬운 설명 빅데이터는 대량의 정형(형식이 있는), 비정형(형식이 없는) 데이터를 포함한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전통적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는 처리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고 복잡합니다. 빅데이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통찰력을 얻고 의사결정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시: 예를 들어, 하루에 수백만 건의 트위터 트윗과 같은 소셜 미디어 데이터는 빅데이터의 한 예입니다. 이 데이터는 대량으로 생성되며, 다양한 형태와 형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으로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 빅데이터의 다양한 정의 빅데이터의 정의는 데이터의 양적인 측면, 생산량 측면, 그리고 처리와 분석의 복잡성 측면에서 확장됩니다. 이러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빅데이터를 이해하는 것이.. 2023. 4. 24. 파이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 1. 파이썬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파이썬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 OOP) 언어입니다. 이는 객체를 생성하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클래스라는 템플릿을 사용하여 객체의 속성과 메소드를 정의합니다. 이렇게 정의된 클래스를 기반으로, 여러 개의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부릅니다. 그럼, 클래스, 객체, 인스턴스에 대해서 더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파이썬 클래스, 객체 및 인스턴스란? 클래스 클래스는 객체의 속성(attribute)과 행동(behavior)을 정의하기 위한 일종의 설계도입니다. 클래스는 하나의 묶음으로 각각의 멤버(member)인 변수와 메소드(me.. 2023. 4. 24. 가상현실? 증강현실? 메타버스? 쉬운 설명 1. 가상현실(VR)이란?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특수한 장비(헤드셋이나 장갑 등)를 사용하여 체험할 수 있는, 컴퓨터로 만들어진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입니다.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차단하고 가상 세계로 대체하여 몰입감을 조성합니다. VR 환경에서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것처럼 가상 세계의 물체나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VR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을 상상해보세요. 롤러코스터를 시뮬레이션하는 게임을 플레이할 때 VR 헤드셋을 착용하면 가상 환경의 360도 뷰를 볼 수 있습니다. 롤러코스터가 움직일 때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정지한 의자에 앉아있지만 몸이 직접 느끼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2. 증강현실(AR)이란?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 2023. 4. 2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프롬프트가 왜 중요해? 1.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Prompt Engineering)이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모델은 텍스트, 이미지, 음악과 같은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기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필요합니다. 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모델에 대한 입력 데이터(프롬프트)를 구성하는 과정입니다. 이 입력 데이터는 모델이 생성하는 출력의 품질과 정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Chat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 및 Dall-E, Stable Diffusion 과 같은 텍스트-이미지 생성 모.. 2023. 4. 20. IoT? 사물인터넷? 쉬운 설명 1. 사물인터넷(IoT) 이란? IoT는 "Internet of Things"의 약자로 물리적 장치, 차량, 건물 및 기타 항목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IoT는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통합을 가능하게 하여 서로 통신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장치의 네트워크를 생성합니다. 2. IoT 응용 분야 IoT는 다음을 포함하여 다양한 산업에 걸쳐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홈: 온도 조절기, 조명 및 보안 시스템과 같은 IoT 장치는 스마트폰 또는 기타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헬스케어: IoT는 원격 환자 모니터링과 심박수 및 혈압과 같은 바이탈 사인을 추적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023. 4. 19.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 쉬운 설명 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원격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처리 능력 및 네트워킹과 같은 리소스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로 제공됩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장치에서 물리적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소유하고 유지 관리할 필요 없이 인터넷 연결을 통해 어디서나 이러한 리소스에 액세스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파일을 저장하면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파일은 Google 서버에 저장되며 인터넷 연결을 통해 어디서나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2.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단점 장점: 확장성: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변화하는 요구에 따라 리소스를 쉽.. 2023. 4. 18. GPU란? 그래픽카드 쉬운설명 1. GPU란? GPU는 Graphics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그래픽 처리를 위한 전용 프로세서입니다. 흔히 우리는 그래픽카드라고 부릅니다. GPU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는 달리, 그래픽 처리를 위해 최적화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픽 처리를 위한 게임, 렌더링, 모델링, 애니메이션 등의 작업에 주로 사용됩니다. 2. GPU와 CPU의 차이 GPU와 CPU는 둘 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연산을 수행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GPU는 대규모 데이터 집합의 병렬 처리 및 계산 작업을 수행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CPU는 더 다양한 종류의 작업에 대응할 수 있는 범용적인 프로세서입니다. 3. GPU의 연산 능력 GPU는 많은 수의 코어를 .. 2023. 4. 17. 양자컴퓨팅이란? 양자컴퓨팅 쉬운 설명 1. 양자컴퓨팅이란? 양자컴퓨팅은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연산을 수행하는 컴퓨터입니다. 일반적인 컴퓨터는 비트(bit)라는 단위로 정보를 처리하지만, 양자컴퓨팅은 양자 비트(qubit)라는 단위로 정보를 처리합니다. 이 qubit은 0과 1 뿐만 아니라, 둘 다의 중간인 상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를 더욱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양자컴퓨팅 개념 예시 설명 예를 들어, 3개의 문을 열어야하는 문제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 컴퓨터는 세 개의 문을 하나씩 열어보면서 해결해야합니다. 하지만, 양자컴퓨팅은 세 개의 문을 동시에 열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양자컴퓨팅에서 사용되는 "양자 상태"라는 개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양자 상태는 일반적인.. 2023. 4. 16. 퍼셉트론이란? 다층퍼셉트론? 딥러닝? 쉬운 설명 1. 퍼셉트론(Perceptron)이란? 퍼셉트론은 인공신경망의 일종으로, 입력값과 가중치를 곱한 결과를 활성화 함수를 거쳐 출력값을 계산하는 모델입니다. 퍼셉트론은 분류(Classification) 문제를 해결하는데 주로 사용됩니다. 퍼셉트론은 단층 퍼셉트론과 다층 퍼셉트론으로 나뉩니다. 단층 퍼셉트론은 하나의 출력값만을 가지며, 입력값과 출력값 사이의 가중치를 조절하여 학습합니다. 다층 퍼셉트론은 여러 층의 뉴런으로 구성되며,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여러 개의 은닉층(hidden layer)이 존재합니다. 2. 퍼셉트론의 동작방식 퍼셉트론은 입력값(Inputs)과 가중치(weights)를 곱한 결과를 모두 더한 후, 활성화 함수(Activation function)를 거쳐 출력값을 계산합니다. 이진 .. 2023. 4. 13. 이분탐색이란? 이분탐색(이진탐색) 매우 쉬운 설명 1. 탐색(검색) 알고리즘이란? 탐색 알고리즘은 주어진 자료에서 특정 값을 찾는 알고리즘입니다. 예를 들어 배열이나 리스트 형태로 주어진 자료에서 특정 숫자를 찾을 때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는 선형(순차) 탐색(linear search)과 이분 탐색(binary search)이 있습니다. 선형 탐색은 배열의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검색하면서 찾으려는 값과 같은 값을 찾을 때까지 탐색하는 방식입니다.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알고리즘 쉬운 설명 1. 알고리즘이란?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일련의 단계나 절차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두 숫 ai-inform.tistory.com 2... 2023. 4. 12. API란? API가 뭐야? API 매우 쉬운 설명 1. API란?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프로그램과 또 다른 프로그램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호출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다른 소프트웨어나 앱에서 우리가 만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다리 역할을 합니다. 2. API 예시를 이용한 쉬운 설명 API 예시로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SNS나 지도 서비스의 API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 지도 API를 사용하면, 개발자가 만든 웹사이트나 앱에서 카카오 지도의 위치 검색, 경로 안내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페이스북 로그인이 있습니다. 다른 앱에서 페이스북 로그.. 2023. 4. 11. 이전 1 ··· 3 4 5 6 7 8 다음 728x90 반응형